변기꿀렁거림 원인 시멘트

By kjhjs7340

어느날 부터 변기꿀렁거림이 발생한다면 얼마나 당황스럽겠습니까?

변기에 앉아 용변을 보는데 공기방울 터지는 현상! 또는 꿀렁거림이 있다면 굉장히 무서울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것은 경험해본 당사자만 느낄수 있는 공포입니다.

혹시나 변기로 똥물이 역류 하는 것은 아닌지…

또는 변기가 폭팔하는 것은 아닌지…..

변기꿀렁거림 증상은 주로 변기배관막힘 문제나 통기관의 공기 흐름의 문제로 이어지는데 오늘은 실제 해결 사례로 배관막힘에 의한 변기꿀렁거림을 살펴보겠습니다.


변기꿀렁거림 배관막힘


변기는 오수관이라는 배관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세대 내에 연결된 오수관을 타고 공용 배관으로 연결이 됩니다.

이렇게 개인에서 공용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어 개인 배관막힘인지 공용 배관 문제인지 판단이 중요합니다.

1층이나 2층과 같이 저층에서 꿀렁거림이 발견된다면 공용 변기 배관 막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평택의 사례는 신축 아파트 1층에서 새벽마다 공기 방울 터지는 소리와 변기 꿀렁거림증상이 동시에 나타 났습니다.

개인 세대에서 일어나는 증상이다 보니 공용 배관의 문제인지 개인 변기 배관의 문제인지 판별이 어려울때가 있는데 이를 구분해 내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변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변기가 꿀렁거리거나 공기 방울 터지는 소리가 난다면 공용 배관 막힘으로 판단을 합니다.

반대로 내가 물을 사용할때 꿀렁거림이 있거나 한다면 개인의 변기 배관부터 점검을 해야 한답니다.

기준은 내가 물을 사용할때 인가? 입니다

아파트 오수관 점검은 고압세척

아파트 관리소와 동행하며 방문 견적시 필요한 부분들을 검토하고 1층 현장을 점검했습니다.

오수관 점검은 고압세척으로 먼저 배관 내부를 뚫고 세정을 한뒤 내시경 촬영을 하는 방식입니다.

세척 과정에 오수관에 쌓인 시멘트나 이물질들이 빠져 나오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위해 고압세척을 하고 난 뒤 내시경 촬영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횡주관 고압세척중 발견된 시멘트


아파트 측에서는 수직 통기관이 막혀 그렇치 않은가? 라고 의견을 내셨지만

가장 저층인 1층에서 문제가 발생했기에 저희는 횡주관을 먼저 점검하는 것이 더 정확해 보였습니다.

먼저 해당 라인의 집수정을 찾아 고압세척을 시작 했는데 배관 초입 부터 고압세척 노즐 걸림이 발생했습니다.

쉽게 진입이 되지도 않고

노즐이 걸려 나오지도 않는 등

시작 부터 작업이 어려웠습니다.

횡주관내 이물질이 그렇게나 많은지 그 넓은 150a의 배관을 뚫고 들어가는데 고압세척기가 한참을 헤메는 것 같았습니다.

그렇게 세척을 하던 중 갑자기 많은 양의 물과 물티슈가 쏟아져 나왔습니다.

또 시멘트 조각들도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횡주관내 쌓인 시멘트 들이 고압세척으로 인해 조각나기 시작하여 집수정 밖으로 배출되기 시작한 모양 입니다.

변기배관에 시멘트 유입은 왜?


화장실 공사중 변기 배관으로 인부들이 공사하다 남은 잔 시멘트를 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1세대 작업할때 마다 버리는 것이 20~30층 모든 세대를 작업 하는 동안 횡주관의로 유입되어 쌓이게 될것입니다.

오수배관에 흘려버린 시멘트가 건물 외부로 배출되면 다행이지만 아파트 횡주관에 침전되는 경우가 많아 변기꿀렁거림 증상이 자주 발생 하는 것입니다.


시멘트 들이 오수관 내부에 쌓이게 되면 내부 공간이 좁아지게 됩니다.

이때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어 가장 가까운 배관으로 공기가 이동하면서 변기꿀렁거림이 발생한답니다.

결국은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기 때문인것이죠!

시멘트 제거 작업


오수관에 쌓인 시멘트를 모두 제거 해야 했습니다. 배관 바닥에 30~40미터 쌓여 있었는데 수년동안 그대로 굳어 있던 것입니다.

배관을 직접 절개 하고 드라이버와 망치고 시멘트 들을 부셔 가면서 구간 마다 제거 하는 작업을 했습니다.


화장실 방수용 시멘트 들은 강도가 높아 고압세척기로도 쉽게 제거 되지 않습니다. 결국 수작업으로 제거 해야 했습니다.

30~40미터 배관에 꽉찬 시멘트 제거는 결코 쉽지 않았습니다.


배관내시경촬영으로 점검


오수관내 쌓인 시멘트가 모두 제거 되었는지 내시경 촬영 점검이 필요 했습니다.

촬영 도중 덜 제거된 시멘트들이 발견될때마다 다시 제거하고

또 다시 촬영하는 등 완벽하게 제거 될때까지 집중력을 잃지 않으려고 애를 썼습니다.


변기 배관에 시멘트 유입은 저희 입장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 입니다.

단 한 덩어리의 시멘트가 남아 있어도 오수관이 다시 막히게 되어 입주민들에게 피해가 갈 수 있다는 것을 경험으로도 잘 알고 있습니다.

마무리


변기꿀렁거림문제는 저층인지 고층인지에 따라 다릅니다.

또 내가 물을 사용할 때인지 그렇지 않을때 인지에 따라 다릅니다.

이번 사례처럼 내가 물을 사용하지 않을때 저층에서 변기 공기방울 증상이 발견된다면 그때마다 핸드폰 영상을 촬영하셔서 전문가에게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해당 작업영상

J2배관설비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kjhjs7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