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화장실하수구역류로 바닥에서 물이 역류한다면 정말 당황스럽죠. 바닥에 거품이 올라오고 물이 고이기 시작한다면 이는 단순한 막힘이 아닐 수 있습니다.
오늘은 평택화장실하수구역류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과, 그 중에서도 공용배관과의 연관성에 대해 실제 사례를 통해 소개해보겠습니다.

화장실하수구역류 에서 물이 역류 이유?
많은 분들이 하수구 막힘은 해당 집 내부의 문제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화장실하수구역류 현상의 근본 원인은 예상 외로 ‘공용배관’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파트나 다세대주택처럼 여러 세대가 한 배관을 공유하는 구조에서는 한 집에서 문제가 생기면 다른 세대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아래층 세대일수록 위층의 물 사용에 따른 역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공용배관(=매인배관)이 문제일 때의 특징
- 변기나 세면대 물 사용 후 바닥 하수구에서 거품이 올라옴
- 위층에서 물을 쓸 때마다 소리와 함께 물이 치고 올라옴
- 싱크대에서 물을 틀면 다른곳에서 역류함
평택화장실하수구역류 실제 사례
같은 매장의 세탁기에서 사용한 물이 화장실로 역류했습니다.
이는 건물의 매인 배관즉 공용배관이 막힌 것으로 봅니다.
좀더 큰 건물을 생각한다면 다른 집에서 사용한 물이 우리집으로 역류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물을 흘리는 곳이 아닌 전혀 다른 곳에서 물이 역류할때는 전문가의 도움이 꼭 필요합니다.

이번 화장실하수구역류를 해결하기 위해 공용배관을 찾기에 집중 했습니다.
화장실이나 세탁실 또는 싱크대 배관을 찾을 필요 없이 오직 공용 배관만 찾았습니다.
다행히 매장 입구 앞에 공용 배관이 있었고 그곳으로 전동 스프링을 사용하여 뚫어내는 작업을 했습니다.
막힌 하수구를 뚫어낸 뒤 내시경 촬영을 하였는데 평택화장실하수구역류의 원인을 단번에 알아 차렸습니다.


바로 배관에 화장실 하수구 부속이 들어가 있던 것이었습니다.
크기도 제법 큰데 어떻게 들어가 있었는지 배관 내에서는 제거하기 어려웠습니다.
배관 내 다른 이물질이 들어가 있어 좁아진 곳으로만 물이 흐르다 보니 쉽게 막혔던 것이었습니다.
막힌 하수구는 뚫어 놓아 그 기능을 회복 시켜드렸습니다.
하지만 배관 내 이물질을 제거하려면 추가 공사가 필요해 보였습니다.
이 부분은 고객 님께서 건물주와 상의 후 결정하여 날짜를 잡기로 했습니다.
이번 사례처럼 건물의 공용 배관이 막히면 하수구 역류가 발생하는데 주로 화장실이 주요 포인트입니다.
그래서 평택화장실하수구역류가 발생 했던 곳이고 이곳 이외의 다른 현장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항상 공용 배관 관리에 힘써야 이런 사태를 예방 할 수 있답니다.
화장실하수구역류, 이렇게 예방하세요
- 기름이나 음식물 찌꺼기는 절대 변기나 세면대에 버리지 마세요.
- 정기적인 배관 점검이 필요합니다. 특히 10년 이상 된 아파트라면 반드시!
마무리하며
평택화장실하수구역류는 단순한 불편을 넘어 위생 문제와 건물 손상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공용배관 문제가 원인이라면 개인이 해결하기 어려우므로 전문 업체의 진단과 조치가 필수입니다.
저희 J2배관설비는 내시경 진단부터 고압세척까지 한번에 해결해드릴 수 있습니다. 반복되는 하수구 역류 문제, 더 이상 혼자 고민하지 마세요. 아래 사진처럼 확실하게! 해결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