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구고압세척은 배관 막힘을 해결하는데 아주 중요한 작업 방식입니다.
특히 잦은 하수구 막힘이나 역류 문제가 나타나는 곳은 더더욱 하수구고압세척으로 뚫음을 합니다.

배관 세척 도중에 배관 구조적인 문제가 발견 되기도 하고 하수구 내부에 고착된 기름 때나 이물질들을 완벽하게 제거 할수 있기 때문에 완벽한 방식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그리고 지난날들 수 많은 현장에서 경험되어져 왔습니다.
오늘 여러분들께 소개해 드릴 현장은 아산의 한 중학교 건물에서 잦은 하수구막힘으로 인한 문제입니다.
하수구고압세척 현장상황
아산의 한 중학교로 찾아 갔습니다. 기존 다른 업체에서 출동하여 여러번 하수구를 뚫었지만 역류 문제가 또다시 발생되어 저희 J2배관설비를 찾아 주시게 되었습니다.

먼저 각 교실마다 설치되어 있는 배관의 구조를 살펴보니 3곳의 교실 세면대가 연결되어 있었습니다.
가장 마지막 교실의 싱크대에서 부터 역류가 자주 발생 한다는 증언을 따라 학교 밖으로 나와 배관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진단결과 3개의 교실이 연결되어 함께 배출되는 매인 배관이 막힌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른 업체에서 뚫었다고는 하지만 하수구역류 문제가 왜 또다시 발생하는 것일까요?
잦은 하수구막힘 역류 문제
하수구막힘 문제로 뚫음 서비스를 여러번 받아도 역류가 발생한다면 배관의 문제가 있다던가 제대로 뚫리지 않았던지의 원인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미흡한 작업의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반복되는 하수구역류 문제는 결국 하수구고압세척이란 방법으로 해결을 할 수 밖에 없답니다.
그 이유는 배관 세척을 하면서 막힘의 이물질을 제거하기도 하고 세정중에 발견되는 배관 구조적인 문제를 찾아내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사람도 장기에 문제가 생기면 위 대장을 관장한뒤 내시경 촬영을 하는것 처럼 배관도 마찬가지 입니다.
어쩌면 하수구는 건물의 핏줄이나 장기가 아닐까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아산하수구고압세척 작업
학교 주무관님과 행정실장님과의 자세한 상담을 통해 배관 고압세척으로 뚫어보기로 했습니다.
해당 맨홀을 찾아 하수구 고압세척을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배관에 쌓여 있어야 할 기름 때나 이물질이 씻겨 나오지는 않고 고압 호스가 계속 걸려드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순간적으로 배관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여 내시경 촬영을 했습니다.
집수정에 나온 배관으로 내시경을 넣고 촬영을 하는데 하수구가 중간에 파손되어 있던것이 아니겠습니까?
연결되어 있던 것이 단락이 되어 물이 배관을 타고 배출이 되지 않았던 것입니다.
물을 사용할때마다 지면으로 흡수되었던 것으로 시원하게 배출이 안되다 보니 하수구가 자주 막힌다고 생각을 했던 것입니다.
파손된 위치를 찾아 관로 탐지에 들어갔습니다.
배관 관로탐지
배관 관로탐지는 하수구 위치를 추적하는 장비 입니다. 내시경으로 찾은 위치를 관로탐지기로 직접 추적하여 배관을 찾아내는것입니다.

화단 근처에서 그 위치를 찾아낸 뒤 땅을굴착 하기 시작 했습니다. 역시나 내시경으로 본 그대로 배관이 파손되어 있었습니다.

단락된 배관을 다시 연결하는 공사를 이어 갔습니다. 연결 할 수 있게 일부를 절단하고 연결 소켓을 사용하여 배관 연결을 해드렸습니다.

다행이 깊지 않은 곳에 배관이 묻혀 있던터라 어렵지 않게 해결해 드릴 수 있었습니다.

그동안 동네 하수구업체를 불러 여러번 뚫었지만 항상 그때 뿐 원인을 찾지 못해 경제적인 지출만 계속되었다고 합니다.
조금 막혔다 싶으면 뚫어주고 돈만 받아가는 방식이 반복되다 보니 확실하게 해결해줄 수 있는 업체를 찾아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합니다.

저희 J2배관설비는 이리 오랜기간 하수구고압세척을 해온 업체입니다.
TV인터뷰에서도 소개 되었고 대기업 삼성 부터 종근당 일동제약 동아제약 등등 다양한 경험으로 하수구 문제를 해결해 드렸습니다.
잦은 하수구막힘 역류 문제가 있다면 하수구고압세척을 뚫고 진단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유튜브
네이버 블로그 1
https://blog.naver.com/rudia07
J2배관설비 블로그1
https://blog.naver.com/j2ps7340
J2배관설비 블로그2